반응형

주식에서 우량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량주란 타기업에 비해 수익성이 높고 업적과 경영내용이 좋아 성장이 커 안정적인 기업의 주식이라 볼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에는 이런 좋은 우량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우량주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경영장의 자질, 회사의 기술력, 업계 내의 지위, 국제경쟁력, 중요 산업의 여부를 꼽을 수 있습니다. 

보통 우량주라고 하면 재무구조가 건실하고 안정성, 수익성, 성장성 있는 기업의 주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기업들을 평가하고 분석해서 주식을 매매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우량주를 고르는 세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주식 사는 법 참고사항 첫째 우선 회사의 인지도가 있으며 누구나 알만한 회사여야 합니다.

LG,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우리에게 익숙한 대기업이 있습니다. 그동안 회사의 이름을 알리기 위해 노력해온 것들이 그 회사의 브랜드 자산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입니다. 많은 업종이 있겠지만 각 업종마다 강력한 브랜드 가치가 존재하며 업종별로 대표주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식 사는 법 참고사항 둘째 독과점인 회사여야 합니다.

주위 둘러보면 담합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 동네 PC방이 있는데 어느 매장은 한 시간 이용금액이 800원이지만 어느 매장은 900원인 경우가 있을 것인데 그 동네가 1,000원으로 담합해버린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담합된 금액으로 이용해야 하며 결국 가격 결정권은 소비자가 아니라 판매자에게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식의 독과점 상태가 지속되면 소비자에게는 손해지만 기업 입장에서 본다면 이익창출이 지속될 것입니다.

 

주식 사는 법 참고사항 셋째 재무상태가 건전한 회사여야 합니다. 

안정적인 회사라고 해도 부채는 있기 마련입니다. 부채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회사 자본이 큰 기업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런 기업들이 안정성 있는 기업이라고 여겨지며 꾸준한 매출과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을 선택해야 합니다. 만약 회사 매출이 들쭉날쭉한다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불투명해 보일 수 있게 여겨집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이익을 많이 내는 회사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런 회사는 수익성이 높기 때문에 회사의 주가는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수익성이 낮으면 당연히 회사의 주가는 떨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이러한 대표주들을 중심으로 재무상태와 PBR, PER, EV/EBITDA 등을 조회 하는 연습을 한 뒤 실전에 투자를 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PBR-기업의 청산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해보는 방법, PBR이 높다는 것은 재무 내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며 PBR이 낮다는 것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입니다. PB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됩니다.

PER-주가 수준을 가늠해보는 대표적인 지표이며 PER 수치가 낮을수록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금에 비해서 주가가 저평가되고 높을수록 고평가 됩니다.

EV/EBITDA-EV란 기업 매수자가 기업을 매수할 때 지불해야 하는 금액으로 주식 시가 총액에 순부채를 더한 것입니다. EBITDA는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현금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주식사는법 -HTS MTS

주식 사는 법 주식투자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처럼 고위험 고수익 투자수단입니다. 위험이 높은 만큼 많은 공부도 해야 하고, 직접투자인 만큼 매수 매도 전부 본인이 결정을 해야 합니다. 주식을 산 이후로..

mhpark8.tistory.com

 

반응형

'생활속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사는법 -HTS MTS  (1) 2020.03.27
청년구직활동지원금 변경사항 꼭 확인  (0) 2020.03.26
코로나 자영업자 대출  (0) 2020.03.24
2020년신혼부부혜택 정리  (2) 2020.03.23
금테크방법  (0) 2020.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