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펀드뜻 쉽게 정리하기

 

펀드뜻은 쉽게 말해 전문적인 지식이 없을 경우 돈을 투자하여 전문가(자산운용가)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을 모아 투자한 후 거기서 나오는 수익금을 다시 돌려주는 것이다. 원금 및 이자를 보장해주는 은행권의 예금, 적금보다는 안전하지 않겠지만 2020년도 현재 낮은 이율을 생각한다면 펀드를 많이 생각하기도 한다. 펀드가 예전에는 펀드매니저에게 투자금을 주어서 펀드매니저가 그 자금을 상품에 투자하여 손쉽게 돈을 벌어다주는 그런 황금기 같은 시절이 있었다. 직장인에게 적금처럼 넣을 수 있는 적립식 펀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품이였다. 투자금액 대비 수익률 또한 25%~30% 로 꾸준하게 수익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예전에 비해 펀드 수익이 낮아지고 펀드로 인해 대박이라고 불리는 성과는 사라졌지만 현재 예적금 이자를 고려한다면 어쩔 수 없이 펀드에 시선일 갈법도 하다그래도 펀드를 해야 한다. 위험성이 은행 보단 높고 예전과 상황은 많이 달라졌지만 과거 30%수익률은 기대 하지 말고 준비해야한다.

 

펀드는 투자이다. 아무리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전문가에게 맡기더라도 내가 어디에 투자하는지 정도는 알아야 되지 않겠는가? 펀드뜻을 알았다면 무엇에 투자를 하는지 몇가지 설명이 필요하다.

증권펀드는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이고 MMF 는 고객의 투자금액을 모아 금리가 높은 단기 금융상품에 집중투자하여 수익을 되돌려주는 실적배당상품이다. 고수익상품에 투자하기 때문에 다른종류보다 수익이 높은 단기금융상품이다. 실물펀드란 건물, 석유, 선박등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부지가 좋은 곳에 건물을 세워 높은 수익이 예상 되는데 돈이 부족하니 투자자들을 모아 건물을 짓고 거기에 따르는 임대수익과 땅값 상승으로 나오는 수익을 돌려주는 것이다. 부동산 펀드뜻과 비슷한 성격을 가진다.

 

 

파생상품펀드는 재산의 10%를 초과하여 위험회피 이외의 목적 또는 수익증대의 방법으로 투자하며 선물, 옵션, 파생삼품에 투자하는 펀드이다. 재간접투자는 주식이나 채권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다른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다. 수익이 성과가 좋은 펀드만 선택하여 분산 투자 할 수 있고 일반 투자자가 접근하기 힘든 해외펀드, 부동산펀드에 투자할 수도 있다.

투자하는 비중을 고려한다면 다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주식형펀드, 채권형펀드, 혼합형펀드이다. 주식형 펀드뜻은 국내 출시된 대다수의 펀드는 주식형 펀드라고 알고 있으면 된다. 보통 주식 시장이 활발해질 때 맞다고 보면 된다. 주식과 관련된 상품에 투자하며 펀드로 모인 돈은 주식에 최소한 60% 이상 투자하는 상품이다. 채권형 펀드뜻은 펀드로 모인돈을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회사채나 국공채, 기업어음같은 채권 상품에 60% 이상을 투자하는 방식이다. 보통 안전한걸 원한다면 채권형 펀드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

혼합형 펀드뜻은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로 좋은 점을 살려 투자하는 방법이다. 주식에 50%투자하면 주식혼합형 펀드이고 채권에 50%투자하면 채권혼합형 펀드주식 50% 채권 50%투자하는 경우 주식혼합형으로 분류된다. 보통 주식의 위험이 더 크기 때문에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펀드라고 이해 하면 된다.

 

 

 

 

반응형

'생활속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노마드 뜻  (3) 2020.03.15
예금이자계산기 이용팁  (0) 2020.03.14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  (0) 2020.03.13
저축은행 예금자보호  (0) 2020.03.11
20대 재테크 종잣돈모으기  (1) 2020.03.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