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화니영이입니다

오늘은 겨울철 자동차 연비가 떨어지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해요

저도 운전을 하지만 여름철과 겨울철 연비를 비교하면

약 2~4 정도 차이가 나는 걸 느낄 수 있어요

매번 출퇴근하는 길에 여름과 겨울철 연비는 확연히 차이가 나긴 나더라고요

그래서 왜 겨울철이 되면 자동차 연비가 떨어지는지 말씀드릴게요!

1. 여름철보다 차가운 엔진의 온도

엔진은 우리 몸과 비교할 때 심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엔진이 원래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냉각수의 온도를 80~90도를 유지를 해야 하는데요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평소 엔진의 열을 올리기 위해서는

더욱더 많은 연료분사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비가 낮아지게 됩니다.

냉각수를 높이기 위해서 너무 긴 시간 동안 불필요한 예열을 할 필요는 없답니다.

겨울철에는 1분 정도 예열을 하시면 되고 주행 10분 이전에는 고 rpm를 사용하지 않고

2,000 미만으로 사용해주시는 것만으로 충분합니다

 

2. 여름철 대비 낮아진 타이어 공기압

날씨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타이어입니다.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고 부피는

작아지기 때문에 공기압이 줄어들기 쉽습니다

그래서

겨울철에는 대기 압력이 낮아져 평소보다 공기압이 약 5% 정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이 떨어지게 되면 접지면적이 늘어나면서 연비가 떨어지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타이어 공기압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어요

 

3. 전력 사용 증가

추운 겨울철에 전력 사용이 증가하게 되는데

핸들 열선, 히터, 시트 열선 등 많은 전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여름철보다 전력사용 시간이 늘어나게 되며 배터리 성능도 저하되고 적정 충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발전기 가동시간도 증가하기 때문에

자동차 연비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불필요한 짐 줄이기

사실 이것은 사계절 내내 해당되는 이야기인데요

차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지면과의 마찰력 증가와 관계가 있는 것인데 

여름철보다 겨울철은 연비가 더 하락할 수밖에 없는데 차 내 짐까지 많아버리면

연비는 더더욱 안 좋아질 수밖에 없어요. 겨울철에 내려간 연비! 짐이라도 줄여서 연비가 그나마

덜 떨어질 수 있게 신경 쓰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